1. Dithering 과 그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.
: Dithering 은 픽셀을 돌면서 백색 또는 검정색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하고, 그 알고리즘으로 에러디퓨전, 스테인스... 풀네임이 잘 기억이 안 나는데 스테인스 알고리즘이 잘 사용됩니다.
이 알고리즘은 픽셀을 돌면서 주변 픽셀에 특정한 행렬을 곱해서 에러를 수정합니다. 일종의 에러디퓨전 입니다.
그 외에도 매트릭스 알고리즘 등이 있습니다.
: 코딩테스트에서 '인상 깊은 알고리즘 또는 기술'에 대해서 적어달라고 해서 적었는데 이걸 면접에서 자세히 설명해달라고 할 줄은 몰랐다.
플로이드-스타인버그 알고리즘의 이름이 생각이 안 났고 개략적인 디더링의 원리만 설명했을 뿐 정확히 이야기하진 못한 것 같다. 찝찝
2. File 과 Blob 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. 각각은 언제 사용하나요? 이진데이터란 어떤 건가요?
: File은 Blob 에서 메타데이터가 추가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. 데이터 전송 등과 같은 때에는 Blob 을, 메타데이터가 필요하거나 할 때는 File을 사용합니다. 이진데이터란 0과 1로 표현되는 데이터입니다.
: File 과 Blob의 정의적인 면에서 차이를 잘 설명한 것 같다. 다만 활용면에서 저장하거나 특정 확장자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등 조금 더 실례를 더 자세히 이야기해도 좋았을 것 같다. 이 답변에 대해서 확신을 가지고 이야기 하진 못했는데 감정 요소가 되었을까?
3. 최신 기술과 레거시 기술에 대한 견해를 이야기해주세요
: 비즈니스에 적합하게 기술을 사용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. 브라우저에서 Dom 을 리렌더링 하는데 비용이 크기 때문에 Virtual DOM 을 사용하는 React 가 제대로만 사용하면 대체로 좋은 성능을 낸다고 생각하지만, 현재 서비스에 jQuery가 적용되어 있는데 짧은 시간에 변경을 해야한다고 하면 주어진 시간에 맞게 React 또는 jQuery 로 변경하면 될 것 같습니다. 너무 최신 기술을 쫒기보다 레퍼런스가 많은 기술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.
: 견해 자체는 지금도 다름이 없다.
면접 결과 : 불합격(4/28)
'면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월 12일 면접 후기 (3) | 2025.05.14 |
---|---|
면접 2일차 질문 (0) | 2021.03.30 |
면접 1일차 질문 (0) | 2021.03.30 |